본문 바로가기

마음건강정보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우울장애

우울장애란?

우울증은 일명 '마음의 감기'라고 불리며 전체 성인의 10-20%가 경험할 수 있는 흔한 질환입니다.
누구나 우울할 때가 있고 일상생활에서의 실망, 가까운 친지의 죽음, 별거 등에서 우울함을 느끼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그러나 병적인 우울증은 슬프거나 울적한 느낌이 기분상의 문제를 넘어서 신체와 생각의 여러 부분에까지 영향을 미쳐서
개인이나 사회생활에 영향을 줌으로써 개인의 행동과 사고가 비생산적이며 비관적으로 바뀌게 됩니다.
따라서 생활자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병이라 할 수 있습니다.

원인

우울증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생물학적·유전적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 만성 신체질환, 대인관계, 생활사건과 환경적 스트레스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생물학적 원인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으로 인해 우울증이 초래될 수 있습니다. 약물치료는 이러한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함으로써, 우울한 기분을 바꿔주게 됩니다.
유전적인 원인
우울증이 있는 부모나 형제, 친척이 있다면, 자신이 우울증에 걸릴 확률은 일반인에 비해 높습니다. 그러나 병 자체가 유전되는 것은 아니므로 우울증 환자 가족이 모두 우울증에 걸리는 것은 아닙니다.
심리적·사회적 원인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이별, 외로움, 실직, 경제적인 걱정 등의 생활사건은 우울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신체질환
갑상선, 뇌졸중, 고혈압, 암, 당뇨병 등의 질환은 우울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이와는 반대로 우울증이 신체질환을 발생시키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특징 및 증상

우울증은 단순히 마음이 침울해지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우울증에는 다양한 증상들이 동반됩니다.

일반적인 증상
  • 우울한 기분 : 평소와 달리 의욕이 없고, 슬픈 감정에 휩싸이는 기간이 늘어나고 그 정도가 심해집니다. TV를 보거나 전화로 이야기하다 괜히 눈물이 납니다.
  • 흥미 상실 : 흥미나 즐거움 상실 뿐 아니라 생활 전반에 걸쳐 의욕상실을 나타내 과거 흥미를 가졌던 활동이나 가족, 친구들과의 관계를 멀리합니다. 또한 에너지 저하로 업무를 마치지 못하고 학교생활이나 직장생활을 제대로 못하고 새로운 일을 시작하지 못합니다.
  • 신체적 증상 : 우울기분에 수반하여 흔히 나타나는 신체증상 중 하나는 수면장애입니다. 우울증 환자 중 80%가 수면장애를 호소하며 그 양상은 새벽에 일찍 깨고, 밤 동안에 자주 깨며 그들의 문제에 대해 밤새도록 생각합니다. 대부분 식욕저하나 체중감소를 동반하기도 하나 때로는 식욕, 체중, 수면이 증가하는 비정형도 있습니다.
  • 인지·정서적 증상 : 대부분의 우울증 환자들은 지남력에는 이상이 없으나 면담 동안 질문에 대하여 대답할 기운이 없거나 흥미가 없습니다. 또한 모든 우울증 환자의 약 50~75%는 우울증적 가성치매로 불리는 인지기능의 손상을 동반합니다. 이런 환자들은 집중력 장애나 건망증을 호소합니다.
생애주기별 증상
  • 소아·청소년기 : 어린이는 주의집중에 어려움을 보이거나 짜증스럽고 부산하기도 하며, 학교 가기를 거부하고 부모에게 매달리기도 합니다. 청소년기에는 가족과의 대화를 끊은 채 방에 들어앉고, 폭행 등의 비행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또한 체중 및 식욕의 변화, 신체적인 고통 등을 호소하며 부정적인 내용의 생각을 표현하기도 합니다. 특히 청소년기에는 기분 변화에 따라 충동적이고 위험한 행동을 하기 쉬우므로 자살위험성이나 집단행동 등에 대한 세밀한 관찰도 필요합니다.
  • 중년기 : 여성이 겪는 갱년기 우울증의 경우 주부건망증으로 알려진 기억력의 저하를 호소하며, 자식이 성공했는데도 불구하고 독립해나간 허탈감을 견디지 못하는 빈둥지 증후군, 초조감과 인생의 공허감, 배우자에 대한 의심 등을 주로 호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노년기 : 노년기 우울증은 흔히 기억력의 변화와 함께 나타납니다. 유서를 고치거나 자신의 재산을 남에게 나누어 준다든가, 죽음에 관해서 이야기를 자주하거나 갑자기 자살의 도구가 될 수 있는 위험한 물건들에 관심을 보이는 경우, 가족들은 우울증의 가능성을 의심해 보아야 할 뿐 아니라 자살의 위험성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이로 인해 병원에서 각종 검사를 받기도 하며 집중력과 기억력의 저하를 호소하는데 심한 경우 치매로 오인되기도 합니다.
치료
  • 01 약물치료
    항우울제 치료는 경제적이고, 매우 효과적인 치료 방법입니다.
    항우울제는 습관성이 없는 약으로 이미 몸에서 생성된 신경전달물질의 균형을 맞추어서 뇌 기능의 조화를 찾아주는 것이므로 안전합니다.
    이들 약물을 복용할 때는 여러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나,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적절히 조절하며 효과를 보려면 적어도 3주 이상 약을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우울한 기분이 좋아진 후에도 충분한 치료를 하여야 재발의 위험이 줄어들게 됩니다.
  • 02 정신치료
    우울증의 치료에는 약물치료가 우선이지만, 우울증이 내적 갈등이나 성격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생각하여 보면 정신 치료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정신치료는 의사와 면담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환자가 자신의 병에 대한 바른 인식을 갖도록 도와줍니다.
    자신이 우울증을 앓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고, 우울증을 유발한 스트레스 요인을 밝혀내어 그것을 다루게 됩니다.
    그 외에도 행동치료, 인지치료, 대인관계치료 등 여러가지 정신치료법이 있습니다.
  • 03 인지행동치료
    우울증의 치료에는 약물치료가 우선이지만, 우울증이 내적 갈등이나 성격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생각하여 보면 정신 치료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정신치료는 의사와 면담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환자가 자신의 병에 대한 바른 인식을 갖도록 도와줍니다.
    자신이 우울증을 앓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고, 우울증을 유발한 스트레스 요인을 밝혀내어 그것을 다루게 됩니다. 그 외에도 행동치료, 인지치료, 대인관계치료 등 여러가지 정신치료법이 있습니다.